2025년 8월 22일 금요일

발 달린 가구 대통합

평면도에서 자리를 차지하는 가구를 4개에서 2개로 줄이려고 작업중이다.

 

우선 튼튼한 선반을 들여서 벽 한 면을 바닥부터 천장까지 다 쓸 수 있게 수납 공간을 만들고 컴퓨터 관련 장비들을 몰아넣고 모니터 위로 책도 밀어넣었다.

거실장 tv장 에어컨장 거실수납장 티비장식장 티비대 오픈장 거실책장 우드인테리어 - 한솔홈 

모양은 다르지만 이 구도랑 비슷하겠다.

 

이것만 해도 장점은 뚜렷하다. 책장이 따로 있을 때는 어쩐지 눈길을 많이 타지 않아서 먼지만 쌓여가는 쓸쓸한 공간이었는데 지금은 어쨌든 가장 오래 시야가 닿는 방향이 책도 같이 있다보니 책에 시야가 더 간다.

스피커도 기존에는 선을 최대한 길게 써서 공간 전체의 좌우에 두었는데 이번에 저 사진과 비슷하게 모니터 좌우로 배치를 바꿨고 스피커가 허용하는 입력단자를 총동원해서 3개 장치의 입력을 한 번에 틀어둘 수 있게 정리했다. AUX선에서 잡음이 실릴까 걱정했는데 아예 없진 않지만 평소에 인지하지 못할 정도여서 다행히도 문제없이 일단락 지었다. 

그리고 모니터 앞쪽으로는 원래 책상으로 쓰던 테이블에서 상판만 뜯어내서 아래 위 모두 접을 수 있게 경첩을 달았다. 평면도 상의 공간 차지를 가급적 줄이려던 거라 이 단계가 필수였다. 원래 계획하던 공정은 다 적용했지만 편의성이 좀 아쉬운 부분들이 있어서 나중에 쿨타임 차면 다시 손댈 것 같다. 

 

한편으로는 잡동사니 수납장을 새로 정립해야 한다. 그동안은 이런저런 자잘한 물건들이 쌓이면 무턱대고 버리지는 못하고 박스에 차곡차곡 모아두곤 했는데 1x년째 그러고 있다보니 그런 박스들도 꽤 모여버렸다. 종종 버릴 건 버린다지만 수납 자체도 다시 생각해볼 때가 되었다.

책장이 있던, 눈에 덜 띄고 발길도 덜 가는 공간으로 수납장을 밀어넣고 거기에 이것저것 소코반을 해야 한다.

 

전에 쓰던 책장은 나무 합판을 간단하게 조립한 물건인데 이번에 다 해체해버렸다. 원래는 이사 자주 다닐 때 매번 책을 책장에서 꺼내고 묶고 풀고 다시 넣는 과정을 하지 않으려고 큰 책장 대신 작은 책장을 여러 개 올려서 썼는데 이젠 종이책 자체를 버리면 버렸지 더 늘릴 생각은 없으니 나무 조립식 책장도 버릴 때가 되었다.

풀어낸 합판들은 원래 계획으로는 수납장에 덧대서 나무 느낌을 내볼까 하는 생각도 있었는데 그러기엔 손도 더 가고 나무색과 벽색이 잘 맞을지도 의문이라 버리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